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경제를 보다, 시작합니다.<br> <br>경제산업부 신선미 기자 나왔습니다. <br> <br>Q. 어제 인구통계가 나왔는데요. 상황이 심각한 거 아닌가요? <br> <br>네, 어제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, 50년 뒤 우리나라 총인구는 1550만 명가량 급감해 3600만 명대까지 추락할 전망입니다. <br><br>이것도 현재 0.7명인 출산율이 1명 대로 반등할 것이란 긍정적 가정에서 나온 수치입니다. <br> <br>출산율이 반등하지 않으면 총인구 3600만 명선도 지키기가 어려운 겁니다. <br> <br>Q. 네 상황이 심각하네요. 기업들도 저출산에 앞다퉈 대책을 내놓고 있죠? <br> <br>롯데그룹에선 출산시 남녀 직원 상관없이 자동으로 육아휴직이 신청됩니다. <br><br>휴직으로 인한 인사상 불이익도 차단했더니, 인구 감소 추세에도 불구하고 10년 간 출산율 2명 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. <br><br>[김현영 / 롯데백화점 팀장] <br>"돌 전후로 애들이 많이 아프고 열나고 하는 시기가 있는데 그런 시기에 제가 옆에 있어줄 수 있어서 너무 다행이었다고 생각했던 거 같아요." <br><br>육아휴직 이후 여성의 근무 복귀율은 93%이고, 남성의 육아휴직제도 사용도 90%가 넘습니다.<br> <br>정부에서도 이 사례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데요. <br> <br>이런 방식의 자동 육아휴직제를 모든 기업이 의무화하는 방안도 검토 중입니다. <br> <br>Q. 셋째 낳으면 승진시켜준다는 기업까지 등장했어요. 어떤 아이디어들 또 나오나요. <br> <br>네, 한미글로벌이 셋째 출산시 직급과 관계없이 승진을 시켜주는 파격적인 제도를 내세웠죠. <br><br>삼성전자나 LG전자 등 대기업들은 대부분 법정 육아휴직 1년에 1년을 더 늘리는 경우가 많고요.<br><br>KB국민은행은 내년부터 육아휴직 2년을 모두 사용한 직원이 추가 휴직을 해야 할 경우, 3년뒤 재채용 조건으로 퇴직할 수도 있습니다. <br> <br>복귀하게 되면 퇴사 당시 직급과 기본급 등급도 그대로 유지됩니다. <br> <br>이 제도를 이용하면 최대 5년 동안의 육아 기간을 가질 수 있습니다. <br> <br>Q. 비용도 많이 들 텐데요. 이렇게 기업들이 앞다퉈 저출산 대책 고민하는 이유는 뭔가요? <br> <br>일과 가정생활이 양립 가능하게 해서 유능한 인재 이탈을 막을 수가 있습니다. <br> <br>또 업무 몰입도가 커지고, 근무 만족감이 높아지면서 기업의 성장과 경쟁력 강화로도 이어진다는 판단입니다. <br><br>실제로 가족친화기업이 일자리 창출과 경영 실적이 더 낫다는 분석도 있었는데요.<br><br>지난 2019년 발표된 통계를 보면 가족친화인증을 받은 기업이 매출증가율은 1.9% 영업이익증가율은 6.6% 높았습니다.<br> <br>또 저출산은 장기적으로도 국가 경제는 물론 기업의 지속가능성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는 취지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<br />신선미 기자 new@ichannela.com